Study/etc(24)
-
LocalStorage, SessionStorage, Cookie의 차이점
Web Storage HTML5에는 웹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구조인 Web Storage 스펙이 포함되어 있다. Web Storage의 개념은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패턴이다. 그리고 영구저장소(LocalStorage)와 임시저장소(SessionStorage)를 따로 두어 데이터의 지속성을 구분할 수 있어 응용 환경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다. Web Storage는 기존 웹 환경의 쿠키(Cookie)와 매우 유사한 개념이다. 사실 거의 차이가 없지만 몇 가지 쿠키의 단점을 극복하는 개선점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쿠키는 여전히 유효하고 꽤 적절한 클라이언트 저장 도구임에 틀림없다. HTML5에서 Web Storage 스펙을 새로 추가했지만 ..
2023.10.13
-
웹사이트를 뭘로 만들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Wappalyzer
https://this-programmer.tistory.com/231 웹사이트를 뭘로 만들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Wappalyzer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wappalyzer/gppongmhjkpfnbhagpmjfkannfbllamg?utm_source=chrome-ntp-icon 여기에서 설치할 수 있다. 그냥 말 그대로 현재 접속해있는 사이트가 어떤 framework나 언어 등을 통해 만들어 this-programmer.tistory.com
2023.09.15
-
가이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3.05.31
-
Git pull/push 시 Password 물어보지 않도록 설정하기(credential.helper)
git을 쓰다보면 간혹 config 미스, 환경 변경으로 push/pull 등 기능 실행 시 계정과 패스워드를 물어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credential 설정이 되어있지 않다면 계정정보를 요청하는게 당연하지만 한창 개발하고 있는 과정에서는 굉장히 귀찮고 번거로워집니다. 아래 코드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로그인 정보가 캐시에 저장돼 반영구적으로 인증 절차가 생략됩니다. // terminal git config credential.helper store git config credential.helper cache git config credential.helper 'cache --timeout=00000' git config credential.helper store --global 설명 1. Crede..
2022.12.26
-
디자인패턴 : MVC
디자인패턴 중 하나인 MVC 패턴 MVC패턴은 디자인패턴 중 하나입니다.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이나 어떤 특정한 것을 개발하는 중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해서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해서 쓸 수 있는 것을 정리하여 특정한 "규약"을 통해 쉽게 쓸 수 있는 형태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어떠한 앱을 만든다고 한다면, 그 앱을 유지보수 하고 또 다른 이들과 공유를 하면서 만들어야 할 때 좀 더 쉽고 깔끔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우리는 고안해야 합니다. 만약 이런 방법들을 명확히 하지 않는 다면.. 우리는 클래스 함수들을 일일히 다 만들어야 하게 될 겁니다.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가 그에 따른 예입니다. 예를 들어 그냥 jQuery를 이용한다면 $("#lucid")로 DOM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순수 ..
2022.10.14
-
PWA와 하이브리드앱
PWA Progressive Web Applications 프로그레시브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을 통해 전달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일반 웹 기술들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표준을 준수하는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어떠한 플랫폼에서라도 동작하도록 고안되었다. 기능에는 오프라인 작업, 푸시 알림, 장치 하드웨어 접근, 데스크톱과 모바일 장치의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의 창출을 가능케 하는 것이 포함된다.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려진 웸 페이지 또는 웹 사이트의 일종이기 때문에 개발자나 사용자가 애플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와 같은 디지털 배급 시스템을 통해 웹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처음부터 모바일 장치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긴 했으..
202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