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 (Mac OS) M2 톰캣 설치하기

2024. 9. 3. 15:02Study/etc

1. 톰캣 설치

아파치 톰캣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tomcat.apache.org/

https://velog.io/@wijoonwu

 

  • 페이지 왼쪽의 `Download` 카테고리에서 다운로드 할 톰캣 버전을 클릭합니다.
  • 내게 맞는 톰캣 버전을 찾는 방법 참고: https://itworldyo.tistory.com/88

 

https://velog.io/@wijoonwu

 

  • `Binary Distributions` 항목에서 `tar.gz` 파일을 클릭 해 다운로드 합니다.

 

https://velog.io/@wijoonwu

 

  • 저장 경로를 설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https://velog.io/@wijoonwu

 

https://velog.io/@wijoonwu

 

  • 설치 된 `tar.gz`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압축을 해제 합니다.

 

 

2. 톰캣 실행

https://velog.io/@wijoonwu

 

https://velog.io/@wijoonwu

 

  • `Finder`에서 톰캣이 설치된 경로로 접속합니다.
  • 키보드에서 `command` + `option` + `c` 를 동시에 눌러 경로를 복사합니다.

 

https://velog.io/@wijoonwu

 

  •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 `cd` + 복사해둔 경로 + `/bin`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startup.sh` 명령어를 입력하여 톰캣을 실행합니다.
  • `Tomcat started.` 문구가 출력되면 성공입니다.
  • `./shutdown.sh` 명령어를 입력하면 톰캣 서버가 중지됩니다.

 

https://velog.io/@wijoonwu

 

  •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한 뒤 주소창에 `localhost:8080` 을 입력합니다.
  • 위 이미지와 같이 톰캣 페이지가 출력되면 성공입니다.

 


 

참고:)

https://velog.io/@wijoonwu/%EB%A7%A5%EB%B6%81Mac-OS-M1-%ED%86%B0%EC%BA%A3-%EC%84%A4%EC%B9%98%ED%95%98%EA%B8%B0

 

맥북(Mac OS) M1 톰캣 설치하기

맥북(Mac OS) M1 환경에서 톰캣 서버를 구현해봅니다.

velog.io

 

 

'Study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Git) 개념과 상황별 팁  (0) 2025.02.02
svg see: SVG 파일 미리보기 extention  (0) 2024.11.25
[Git] 맥 vscode 터미널에 git 현재 branch 표시하기  (0) 2024.07.05
iOS input focus, buffer  (0) 2024.06.12
nvm-window proxy 설정  (0) 2024.02.06